2025년 연말정산 간소화 기간, 필요 서류, 하는 방법은?
오늘은 13월의 월급이라고 하는 연말정산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기간과 간소화하는 데 필요한 서류, 하는 방법 그리고 공제 항목까지 한눈에 확인해 보세요.
1. 연말정산 기간
2.필수 준비서류 및 꿀팁
3.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제대로 활용하는 법
4. 확인 필수! 공제항목 총정리
5. 환급액 늘리는 2025 개정 세법 꿀팁

1. 연말정산 기간

2024/12/1 ~ 2025/1/15 : 근로자 일괄 제공 신청내역 확인(동의)
2025/1/17 ~ 2025/3/10 : 간소화 서비스 화면에서 소득, 세액 공제 증명 자료 확인
2025/1/20 ~ 2025/2/28 : 간소화 서비스에서 제공하지 않은 영수증은 근로자가 직접 수집. 기부금, 의료비, 신용카드 명세서, 신청서와 함께 제출
2025/2/1 ~ 2025/2/28 : 소득, 세액 공제 신고서 및 수동 공제 증명 자료 회사에 제출
*일반적으로 환급금은 2월 급여에 포함되어 지급되며, 늦어도 3월 말까지는 지급이 완료돼요.
2.필수 준비서류 및 꿀팁
연말정산을 위해서는 신분증과 공인인증서는 필수로 준비해야 해요. 그리고 작년 원천징수영수증도 있어야 올해 받을 환급액과 비교할 수 있으니, 챙기는 것이 좋아요.
공제 받을 항목이 있는 사람들은 추가로 의료비 영수증(특히 치과 비용이나 안경 사는 데 드는 비용), 교육비 납입증명서와 주택청약 납입증명서도 챙기는 게 좋습니다. 뿐만 아니라 매년 기부를 하시는 분들께서는 기부금 영수증도 꼭! 챙기세요.
3.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제대로 활용하는 법

홈택스(hometax.go.kr)에 들어가서 금융인증서로 간편하게 로그인 하신 뒤, 연말정산 간소화를 눌러주시면, 한꺼번에 2024년의 내역이 다 나옵니다. 조회를 하셨다면 한번에 내려받기를 눌러서 PDF 파일로 저장하면 끝!
4. 확인 필수! 공제항목 총정리
올해 연말정산에서 체크할 부분은 바로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소득공제율이 한시 상향된 부분인데요. 2024년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이 2023년 대비 5%를 초과하여 증가한 경우, 그 초과분의 10%를 최대 100만 원 한도로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 2023년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등 사용금액: 2,000만 원
- 2024년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등 사용금액: 2,200만 원
이 경우, 2023년 대비 5% 증가한 금액은 100만 원이며, 실제 증가분은 200만 원입니다. 따라서, 증가분 200만 원 중 100만 원(5% 초과분)에 대해 10%의 소득공제율을 적용하여, 추가로 10만 원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한시적 공제 혜택을 통해 근로자들은 신용카드 사용에 따른 추가적인 세제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다만, 공제 한도가 최대 100만 원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소비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뿐만 아니라 신용카드의 경우 결제액의 15~40%까지 공제가 되고, 월세로 주거하시는 분들의 경우 월세액의 15%까지 공제받을 수 있답니다. 요즘 집 사지 말고 월세 살라는 이야기를 하는 유튜브 영상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연말정산 공제 때문에 이런 이야기를 하시기도 하더라구요! 월세 사시는 분들은 현금영수증 꼭꼭 잘 챙겨서 공제 받으시고, 전세와 월세 혹은 매매를 고민하시는 분들도 이 부분 생각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5. 환급액 늘리는 2025 개정 세법 꿀팁
결혼비용을 지원하는 결혼세액공제가 신설됐습니다. 50만원이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또한, 월세 세액공제는 연간 750만원에서 1천만원으로 오르기도 했습니다.
주택총약종합저축 납입액에 대한 소득공제도 연 300만원까지 증가됐어요.
자녀세액공제도 자녀가 1명일 때 연 15만원의 세액공제금액이, 2명일 때 35만원, 3명이상일 때는 연 35만원에 2명 초과하는 1명당 연 30만원의 금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셋째 이상인 경우 연 70만원을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어요.
결론적으로 신용카드는 연봉의 25% 까지만 쓰고, 그 이상부터는 체크카드를 사용하시는 게 좋아요. 그럼 2025 연말정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를 가져오겠습니다. 다들 13월의 월급, 잘 챙기시길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