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GA] 구글 애널리틱스 공부하기 - 기본편

cavtus 2021. 6. 12. 15:09

구글 애널리틱스란 무엇인가?

구글 애널리틱스는 구글에서 만든 웹 로그 분석 소프트웨어다. 웹사이트 내에 있는 사용자 행동을 트래킹해 제공하는 앱이다. 웹사이트에 들어오는 사용자들의 경로를 파악해 행동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왜 활용해야 하는가?

1. 고품질 사용자를 찾기 위해

우리가 하는 비즈니스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생각해보면 쉽다. 한 개라도 더 팔아야 하는 시장에서, 누구에게 팔 것인가. 즉, 웹사이트에 들어오는 사용자 중 어떤 사람이 비즈니스에 크게 기여해야 하는지 찾아내는 것이다. 다양한 광고 전략을 더 강력한 사용자에 맞춰 설정해두면 매출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 사용자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2. 고효율 매체를 찾기 위해

웹사이트에 들어오는 사람들 중 웹사이트 주소를 직접 입력해 들어오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대부분의 사용자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들어올 것이다. 만약 네이버를 통해 들어온 사용자가 페이스북을 통해 들어온 사용자보다 더 많다면, 고효율 매체는 네이버가 된다. 즉, 네이버의 광고비를 증액하는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3. A/B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A/B테스트는 그로스 해킹에서 아주 중요하다.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쇼핑몰의 상세페이지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나가는 사람들의 비율인 '이탈률'이 높을 경우, 상세페이지의 형태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폼클렌징을 판매하는 브랜드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전환율이 너무 낮아 고민하던 때에, 그들 제품의 후기가 다른 경쟁사보다 좋다는 의견이 있었다. 그래서 실제 사용자에게 제품 리뷰 페이지를 더 많이 보여주면 더 많이 팔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래서 기존 상세페이지인 A 페이지(원본 페이지)와 리뷰 영역에 좀 더 쉽게 접근하도록 코드를 바꾼 페이지인 B 페이지(대안 페이지)를 동시에 노출했다. (동시에 노출한다는 말은 100명이 들어왔을 때 랜덤으로 50명에게는 원본 페이지를, 나머지 50명 에게는 대안 페이지를 보여준다는 뜻이다.) 결과는 대안 페이지 전환율이 원본 페이지 전환율보다 15%가 높았다. 이를 A/B테스트라고 한다. 이로써 광고에서 자주 쓰이는 클릭률, 노출량과 같은 겉으로만 보이는 지표가 아닌 웹사이트까지 개선할 수 있는 A/B테스트를 구글 애널리틱스가 도와줄 수 있는 것이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목적을 살펴봤다면, 다음에는 당신이 하고자 하는 비즈니스의 목표를 알아야 한다.

OKR과 KPI

OKR(Objective Key Results) : 비즈니스나 캠페인 기간의 최종 목표
KPI(Key Performance Index) : 설정한 OKR이 잘 달성됐는지 측정하는, 숫자로 치환 가능한 성과 지표
한 버스 운전자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아이들 40명을 태워 부산에서 서울까지 갈 때, 그 버스 운전사의 OKR은 '안전 운전'이다. 그렇다면 그의 KPI는 무엇일까? 바로 '다치지 않은 아이들의 수'다.
다시 한번, 그 버스 운전사의 OKR이 '속도'라면 KPI는 무엇일까? 바로 '부산에서 서울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이다. 즉, OKR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라면 KPI는 그 목표가 잘 달성됐는지 평가하는 객관적인 지표인 셈이다.

그렇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애널리틱스 앱을 직접 살펴보며 알아보도록 하자.

구글 애널리틱스의 보고서 영역의 대 카테고리다.
실시간 - 현재 웹사이트에 어떤 사람들이 어디서 들어왔고, 그들이 지금 웹사이트의 '어느 위치에 머무르고 있는지' 보여주는 보고서
잠재고객 -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가?(연령, 성별 등)'에 집중한 보고서를 모아둔 카테고리
획득 -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어디서 획득됐는가?(오가닉, 리퍼럴 등)'에 집중한 보고서
행동 - 웹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하는가?'에 집중한 보고서
전환 - 주요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를 모아둔 카테고리

참고. 구글 애널리틱스 완벽 입문, 유성민, 위키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