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GA] 구글 애널리틱스 공부하기 - 시작편

cavtus 2021. 6. 12. 15:41

획득 - 전체 트래픽 - 채널 에서 볼 수 있는 용어 뜻 정리 

  • Organic Search : 자연 검색. 구글, 네이버, 다음과 같은 검색엔진에서 키워드를 잠재고객이 직접 검색해 웹사이트에 방문하면 Organic Search 채널로 잡힌다. 
  • Social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링크드인,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매체에서 링크를 타고 웹사이트로 들어오면 Social로 잡힌다. 
  • Direct : 웹사이트에 들어오긴 했는데, 이전 사이트의 URL 정보가 없을 때 Direct 채널로 잡힌다. 예를 들어, 문자, 즐겨찾기, URL 직접 타이핑을 통해 웹사이트에 들어오면 Direct로 잡힌다. 
  • Referral : 제3의 사이트에서 추천돼 웹사이트에 들어온 트래픽. 예를 들어, 양말 쇼핑몰이 있고, 특정 사용자가 거기서 양말을 구매한 뒤 너무 맘에 들어서 블로그에 후기를 남겼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제3자가 블로그 후기를 보고, URL을 클릭해 들어오면 Referral 트래픽으로 잡힌다. 
  • Paid Search : Organic Search와는 달리 네이버 파워링크와 같은 유료 검색 키워드를 통해 들어온 트래픽 채널을 의미한다. 유료 검색 정도로 직역할 수 있다. 
  • Affiliates : Referral 채널 중에서도 어떤 사이트는 웹사이트 브랜드와 제휴를 맺은 사이트거나 자사 브랜드의 계열사일 수 있다. 그래서 '이 Referral 사이트는 별도로 자사 브랜드의 계열사 사이트로 관리하겠다'는 설정을 허면 Affiliates 채널에 잡힌다. 
  • Display : 구글 디스플레이 배너 광고를 통해 들어오면 같은 구글 상품이다 보니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채널로 들어온 것으로 잡힌다. 
  • Other : 위에서 설명한 7가지 채널이 아닌 경우에 Other로 잡힌다. 

 

세그먼트(Segment)

세그먼트는 '덩어리'라는 뜻으로 마케팅에서는 '공통적인 성질이나 형태를 보이는 사용자 집단'을 의미한다. 구글 애널리틱스에는 소스/매체 보고서, 연령/성별 보고서 등 다양한 측정 기준을 통해 데이터를 볼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어떤 공통적인 고객의 데이터만 필터링해서 보고싶을 때가 있다. 예를 들면 '결제를 완료한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보고자 할 때', '네이버 검색을 통해 들어온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보고자 할 때' 등이 그렇다. 세그먼트를 정의해 그 데이터를 보면 기존의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 거시적으로 데이터를 보는 것과는 또 다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브랜드 인지도를 확인하기 위한 세그먼트 만들기 

획득 - 전체 트래픽 - 소스/매체 보고서 

+세그먼트 버튼 클릭 

모든 사용자로 클릭돼 있음(디폴트 값)

상단에 + 새 세그먼트(빨간색 박스) 클릭 

 

왼쪽 하단 카테고리 [고급] - [조건] 클릭

거래ID - '소스' 직접 검색 후 클릭 

다음을 포함 - 옆 네모칸에 google 

AND 수식 클릭 

거래ID - '매체' 직접 검색 후 클릭

다음을 포함 - 옆 네모칸에 organic 

상단 저장(파란색 네모 박스) 클릭 

 

비교대상을 활용해 이전과 함께 비교 가능 

 

*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는 아니라서 트래픽 수, 이탈률, 체류 시간 등만 참고 가능하지만 나중에 직접 웹사이트의 애널리틱스를 만들거나 더 많은 정보를 참고할 때 꼭 이 책을 사서 보는 게 좋을 것 같다! 구글 애널리틱스 책을 세 권 정도 봤는데, 제일 깔끔하고 설명도 잘 돼있고 무엇보다 문장에 군더더기가 없어 술술 읽힌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91750196

 

구글 애널리틱스 완벽 입문

바로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 기능을 쉽게 풀어냈다!어느새 구글 애널리틱스는 이름만 들어도 대부분의 사람이 알 수 있는 데이터 분석 도구로 자리 잡았다. 특히 국내 200대 기업의 70%

www.yes24.com

 

참고. 구글 애널리틱스 완벽 입문, 유성민, 위키북스